top of page

부엌도- 플라스틱 키친(Plastic Kitchen)

                                                                                   미술평론가 이시은

이미지는 심오한 실재의 반영이다.

이미지는 심오한 실재를 감추고 변질시킨다.

이미지는 심오한 실재의 부재를 감춘다.

이미지는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어떤 실재와도 관계를 갖지 않는다.

이미지는 자신의 순수한 시뮬라크르이다.

-장 보드리야르 Jean Baudrillard

 

많은 사람들이 음식 맛이 좋으면 좋을수록 손맛을 강조하면서 자연스럽게 어머니 손맛을 떠올리곤 한다. 음식 맛의 평가는 향수와 연관된다. 맛에 대한 기억은 그리움을 품고 있고 누군가의 존재를 떠올리게 한다. 음식에 대한 향수는 누구와 어디서, 무엇을 먹었는지를 추억하게 하는데, 특히 어머니에 대한 추억을 가장 많이 공유하는 것 중 하나가 음식인 것 같다.

음식을 만드는 공간, 부엌은 일상의 대표적 아이콘이다. 주방(廚房), 키친(kitchen)으로 지칭되는 부엌은 불리불가분의 관계성을 가진 공간, 누군가와 음식을 만들어 나누어 먹으며 희로애락이 있던 공간이다. 부엌은 순우리말로 ‘부’는 불[火]이며, ‘-엌’은 장소를 나타내는 접미사이다. 키친(Kitchen)은 라틴어의 ‘Coquina(불을 사용하는 곳)’에서 파생되어 영어원어인 Cycene(쿠치네)로 변해서 오늘날 키친(kitchen)으로 불려진다. 동서양의 단어에서 공통적으로 불을 다루는 장소라는 어원을 품고 있는 부엌은, 삶의 가장 기초가 되는 일상의 아이콘이다. 주방에서 매일 사용하는 물건을 비롯하여 플라스틱의 용도는 현대인에게 편리한 생활용품 그 이상이다. 현대인의 표상처럼 느껴지는 플라스틱과 일상의 아이콘인 키친의 조합으로 구성된 윤은숙 작가의 플라스틱 키친(plastic kitchen)은 플라스틱이라는‘인공(artificial)’, ‘가공물질’과 키친 ‘요리’, ‘생명’ 등이 함께 어우러져 있다는 느낌이 물씬 풍긴다.

 

사진작품이미지는 피사체에 집중하고 있다. 플라스틱 인공 조형물인 대상(object)과 실재 살아있는 생명이 있는 대상(object) 두 가지로 구성되었다. 불안정한 구도와 어색한 배치로 매일 우리가 접하는 식재료들과 그릇 등 익숙한 장면을 연출하고 있다. 눈으로 볼 수는 있지만, 먹을 수 없는 모형식재료와 과장된 물체의 배치는 작가의 의도로 만들어진 구성이다. 사진이미지는 인공물과 살아있는 물체 사이에서 익숙하면서 낮선 야릇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작가는 의도적으로 인공모형물, 즉 실재보다 더 실재 같은 대상인 초과실재(hyperreality) 그러니까 시뮬라크르(simulacre) 대상과 살아있는 대상 사이의 관계성을 카메라의 시선을 통해 바라보는데 집중되어 있다. 시뮬라크르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존재하는 것처럼 만들어놓은 인공물을 지칭한다. 시뮬라크르는 ‘재현의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재현의 형태는 대상과 기호의 관계에 대한 실재와 실재를 표현하는 시니피에(signifie, 기표)의 본질에 대한 가정에 일치한다. 사진의 본질은 대상이 재현을 허락할 때 이루어진다. 비록 사진이 편향적인 속성을 지닌 대상의 의미에 대해 거짓을 기록할 수 있어도 그 대상의 존재에 대해서는 거짓을 기록할 수 없다. 사진은 언제나 정직한 환영을 시도한다. 이처럼 작가는 모형물의 가상성과 살아있는 생명체에서 이질적이면서도 묘한 동질감을 전하고 있다. 가상과 실재가 만나 가상의 이미지로 만들어진 사진은 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이미지를 구현하는 시뮬라크르의 접점을 보여주고 있다. 윤은숙의 사진이미지는 실제 이미지를 압도하고 가상이 실재(實在,reality)보다 더욱 실재 같은 이미지를 만들어 관객에게 혼미한 환영과 실제성을 부여한다.

 

윤은숙 작가는 진짜와 가짜 사이에 환영인 시뮬라크르를 통해 지금의 현실을 보고 있다. 무엇이 실재이고 무엇이 가상인지 구별이 불가능한 관계로 이미지의 이질적인 관계 미학을 형성하여 우리에게 새로운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Plastic Kitchen

Art critic, Sieun, lee

 

The image is a reflection of profound reality.

The image masks and denatures a profound reality.

The image masks the absence of a profoun d reality.

The image has no relation to any reality whatsoever.

The image is its own pure simulacrum. 

- Jean Baudrillard

 

Many people tend to recall their mother's tastes naturally, emphasizing the taste of the food as the taste of the food is better. The evaluation of food tastes is associated with perfumes. The memories of taste are longing and remind of someone's presence. The food tastes remind the Nostalgia, who, where, and what I ate, and it seems to me that food is one of the most common memories of my mother. The space to make food, it is called a kitchen where is a typical icon of everyday life. The kitchen is a space with an unavoidable relationship, space where people eat and share food with others. The kitchen is a pure Korean, 'Boo' is a fire [fire], and '- kitchen' is a suffix indicating a place. The kitchen is derived from Latin 'Coquina (the place where the fire is used)' to become the English original Cyclone, which is now called the kitchen. The kitchen, which has an etymology that is a commonplace place to deal with the fire in the words of the East and the West, is the icon of everyday life that is the basis of life.  The use of plastic, including everyday items in the kitchen, is more than a convenient commodity for modern people. Yoon Eun-sook's work is made up of a combination of plastic, which is felt like a modern person, and kitchen, which is a daily icon. In this work, plastic kitchens are made of plastics called 'artificial', 'processed material', kitchen 'cooking', and 'life'.  

 

The photographic work image is focused on the subject. It consists of two objects: plastic artificial objects and living objects. Unstable composition and awkward arrangement, she produces familiar scenes such as food ingredients and bowls that we touch every day. The arrangements of artificial ingredients and exaggerated objects that can be seen with the eyes, but which cannot be eaten, are composed by the artist's intention. The photographic image creates an unfamiliar and strange atmosphere between artifacts and living objects. The artist intentionally uses artificial models. In other words, the artifact is hyper-reality, a more realistic subject than reality. It is concentrated o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mulacra object and the living object through the camera’s gaze.

The simulacrum refers to artifacts that make a nonexistent object appear to exist. The simulacrum can be described as a form of representation. This form of representation is consistent with the assumption of the essence of signifies expressing reality and realit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signs. The essence of photography comes when the subject allows reproduction. Although a photograph can record a falsehood about the meaning of an object with a biased attribute, it isn’t able to record a falsehood about its existence. The photographs always try to true illusion. Thus, the artist conveys the virtual of the artifacts model and the alien and strange sense of identity in living creatures. The combination of virtual reality and virtual imagery shows the simulacrum’s contact point, which realizes more realistic images than reality. Yoon, Eun-sook's photographic image overwhelms the actual image and creates a more realistic image than the virtual reality, giving the viewer a sense of illusion and realism. 

 

Yoon, Eun-suk sees the present reality through the simulacrum which is a welcome between real and fake. Her work forms heterogeneous relationship aesthetics of the imag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what is real and what is a virtual image, and it is throwing a new message to us.

 

 

 작업 노트

 

부엌도- Plastic Kitchen

 

 

주부들은 살아가면서 많은 시간을 ‘부엌’에서 보낸다.

삼시세끼 가족들의 식사를 만들며 하루를 보내기도 한다.

매일 무엇을 해먹을까 고민하면서 장을 보고, 장을 보아온 식재료를 다듬어 정리한다.

생선, 야채, 고기, 과일 등의 무한한 식재료들과 칼, 도마, 냄비, 국자 등의 다양한 조리 도구들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부엌이라는 공간은 그 공간의 주인인 주부들의 개인적인 취향이나 습관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다. 나의 부엌도 20년 넘게 가꾸어온 나의 공간이다.

그런 부엌이라는 공간이 굴레처럼 느껴졌다.

‘부엌’하면 떠오르는 따뜻하고 모성애 가득한 공간을 전복하여 차가우면서 신경증적인 

강박이 있는 낯선 공간으로 만들어 보았다.

‘부엌’이라는 공간은 끊임없는 반복이 일상이 되는 공간이다.

사람들은 통상 그 장소에 대한 전형적인 생각이 있는데 ‘부엌’은 엄마의 손맛, 따스함, 행복함 등이 대표적이다.

과연 그 주부들은 모두 행복한 마음이었을까? 라는 의문에서 시작하여 보았다.

나 또한 주부로 1년 365일 행복한 마음으로만 부엌에 있지 않은 것 같다.

은연 중에 사회적 통념의 강박에 사로잡혀 행동하는 나 자신을 발견해 본다.

 

부엌이라는 익숙한 공간의 심리적인 낯설음을 이질적인 오브제를 통해 표현해 보았다.

식재료들과 조리도구들은 real(실제)와 fake(가짜)가 공존한다.

하얀 도마 위에 놓여진 생선, 쪽파, 감자, 피망 등등 rea과 fake가 공존하고,

주방과 어울리지 않는 사물들로 배치된다.

라이팅도 이질적이며, 시선도 부자연스러운 왜곡으로 낯설고 불편한 부엌의 이미지로

재구성해 보았다.

이번 작업의 취지는 일상적이고 평범한 곳인 부엌에서 보여지는 친근한 도구, 식재료와 그

곳에서 볼 수 없는 상이한 도구들이 서로 조합되어 보여졌을 때 블편함이다.

즉, 익숙한 공간에서 뿜어져 나오는 낯설음과 서늘함을 통해서 주부들의 강박을 넘어서 현대인들의 스트레스를 표현해 보려한다.

Artist Statement

  The image of Kitchen(Bueokdo)- Plastic Kitchen  

 Yoon Eun-sook

The most housewives spend a lot of their time in the kitchen. I also spend a day making meals for my family. Every day I wonder about what should I make for meals, to go shopping and arranging the ingredients? Space belongs to ingredients where various utensils of fish, vegetables, meat, fruit, unlimited food and knives, cutting boards, pans, ladles, etc., coexist. The kitchen space is a space formed by the personal taste and habit of the housewife who is the owner of the space.

 

My kitchen has been my space for over 20 years. Then the kitchen space that felt like a bridle. When it comes to 'kitchen', I overturned the warm and homely space that I have come up with and made it into a strange space with cold and neurotic compulsions. The 'kitchen' space is a space where constant repetition becomes a routine. People usually have a typical idea of the place, and the 'kitchen' is typical of the mother's taste, warmth, and happiness.

Was the housewife all happy? It is seen starting with that question.   I also do not seem to be in the kitchen only with a happy heart 365 days a year as a housewife.

Indeed, I find myself acting obsessively with the compulsion of social myth. I expressed the psychological unfamiliarity of the familiar space called the kitchen through a heterogeneous object. Food and cooking equipment should coexist real (physical) and fake (fake) Fish, the shallots, potatoes, peppers and so real and fake coexistence placed on a white cutting board, and is placed in the kitchen and incongruous things.

The lighting was also heterogeneous and the gaze was reconstructed as an unfamiliar and inconvenient kitchen image with unnatural distortions.

The intent of this work is intentionally creating a familiar, yet strange photo images. That is made up of strange and unfamiliar the kitchen space, where familiar ingredients foods and utensil tools, between there are shown in the ordinary everyday kitchen. In other words, through the unfamiliarity and coolness that comes from familiar space, I try to express the stress of modern people beyond the obsessions of housewives.

bottom of page